-
항공운송 1편 - 항공화물운송의 개요물류 공부 2023. 9. 10. 16:03반응형
1. 항공화물운송의 의의
항공운송(Air Transport)이란 항공기를 사용하여 여객, 화물, 우편물 등을 운송하는 경제 행위를 말하며, 항공화물운송은 항공기에 적재되는 승객의 수화물과 우편물을 제외한 항공화물운송장(Air Waybill, AWB)에 의해 운송되는 화물의 운송을 일컫는다. 항공화물운송은 1910년 필립 팔메리가 세계 최초로 비행기 날개에 실크 60파운드를 싣고 미국 오하이오주 데이튼(Dayton)과 콜럼버스(Coloumbus) 간 65마일을 운행한 것이 효시였다. 그 후 항공화물운송은 우편물, 긴급품, 귀중품 등 특수한 물품의 운송에 한정되어 있었으나, 1959년에서 60년에 개발되어 항공운송업계에 도입되기 시작한 제트기의 등장으로 자동차나 컴퓨터, 기계 등 대형화물의 운송이 가능해지면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특히 1963년 화물전용제트기(DC-8F, B-707F)의 취항은 항공화물운송을 본격적인 대량운송체제로 접어들게 하였다. 이어 1970년대에 들어가서는 보잉 747 점보제트기를 비롯하여 DC-10, L-1011 등 광동체 대형 항공기가 세계 각 항로에 취항하게 되면서 국제 간 항공화물운송의 발전이 본격화되었다. 이후 광동체 항공기의 보급 확대와 더불어 항공운송절차의 표준화, 항공화물의 컨테이너화 및 지상 작업의 자동화로 운송효율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오늘날 항공화물운송량은 약 270만 톤 규모로 매년 성장하고 있다.
2.항공화물운송 현황 및 성장요인
1) 항공화물운송 현황
우리나라 수출입화물에서 항공화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물동량 기준으로 약 0.3%에 불과하지만, 운송되는 화물가액을 기준으로 할 때 항공화물은 30%를 상회한다. 이는 항공화물의 경우에 물동량 규모는 작지만 운임부담력이 큰 고부가가치 화물을 주로 운송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도난, 파손 가능성이 높은 화물 혹은 상품의 수명주기가 짧은 화물 등의 운송에는 항공운송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향후에도 IT제품의 지속적인 수출입 수요증가, 일본의 생산복구 및 유럽 경제 회복, 나아가 인천국제공항의 이용도 향상 등에 힘입어 항공화물시장은 계속 성장해 나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 항공화물운송의 성장요인
①항공기술의 발전으로 항공기의 속도 향상과 대형화에 따른 운송수요의 증가
②수출입 화물을 경박단소화, 고부가가치화 등의 진전으로 운임부담력이 있는 화물의 증가
③국제적 분업화의 진전에 따른 상품 및 반제품의 국제운송 증가
④샘플, 이삿짐, 패션상품, 식품, 화훼류 등 긴급성 및 시한성 제품의 수요증가
⑤항공운송의 장점에 대한 물류관리나 마케팅 전략의 고도화
⑥항공운송서비스의 향상과 운임 저렴화
⑦운송의 합리화에 의한 시간 가치의 상승
3.항공화물운송의 특성과 장점
1) 항공화물운송의 특성
일반적으로 항공화물의 운송대상은 부가가치가 높은 공업제품, 운송 도중에 도난 및 파손의 위험이 있는 화물, 긴급성 및 상품의 진부화 속도가 빠른 화물, 취급과 보관비용이 높은 화물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항공여객운송의 약 90%가 왕복운송인데 반해 항공화물운송은 거의 대부분이 편도 운송이고, 고정화주가 대부분이며, 공항에서의 지상조업을 별도로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항공여객운송과 차이가 있다. 그리고 항공화물운송은 해상운송에 비해 운송시간이 짧고 하역처리 빈도가 적어 도난, 파손 위험의 발생률도 줄여주기 때문에 해상운송에 비해 운송보험료가 저렴한 편이며, 최소의 포장만을 함으로써 포장비도 저렴하다. 아울러 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화물의 재고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착지 및 중계지 등에서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여 보관비 절감도 가능하다.
2) 항공운송의 장단점
(1) 장점
①신속성(Speed)
②정시성(Safety)
③안전성(Schedule)
④경제성(Economic, 총 물류비 관점에서는 해상 운송보다 저렴)
(2) 단점
①중량과 규격이 제한되어 중량물, 장척물의 운송이 곤란함
②운임이 비교적 높음
③공항이 없거나 항공화물편이 없는 곳에서는 운송이 곤란함
④에너지 소비량이 높음
⑤소음공해 발생으로 규제 가능성이 있음
4. 항공기의 단위 탑재용기
항공기의 단위 탑재용기(Unit Load Device, ULD)는 항공화물의 단위화를 위한 용기로서 항공기의 대형화 및 상하역작업의 기계화에 따라서 이용되는 항공화물용 파렛트(Pallet), 컨테이너(Container), 이글루(Igloo) 등을 말한다. ULD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가 인정하는 것과 항공사가 소유하고 있는 것 두 종류가 있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가 인정한 ULD는 각 항공기의 화물칸에 적합하도록 제작된 것으로 Aircraft ULD라고 하며, 컨테이너, 파렛트, 이글루는 여기에 속한다. 항공용(Aircraft) ULD는 항공기 바닥면의 고정 장치로 직접 고정할 수 있는 ULD이고, 비항공용(Non-Aircraft) ULD는 Aircraft ULD를 매개로 해서 항공기에 탑재할 수 있다.
1) 파렛트(Pallet)
1인치 이하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 평판으로, 파렛트 위의 화물을 특정 항공기의 내부모양과 일치하도록 적재작업을 한 후에 망이나 끈으로 묶을 수 있도록 고안된 장비이다. 작업이 완료된 파렛트는 항공기에 탑재하고, 화물실 바닥에 장치된 Attachment System을 사용하여 항공기에 고정시킨다. 표준사이즈는 88×108(Inch), 88×125(Inch)이다.
2) 컨테이너(Certified Aircraft Container)
별도의 보조 장비 없이 항공기 내의 화물실에 적재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용기이다. 항공기 화물실 윤곽(Contour)에 맞게 제작되어 화물실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제작되었다.
3) 이글루(Igloo)
유리섬유 또는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비행기의 동체 모양에 따라 만들어진 덮개로 파렛트와 함께 사용되어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고안되었다. 항공기 내부구조에 맞게 모서리가 둥글게 제작되어 있다. 이글루의 종류는 파렛트와 마찬가지로 88×108(Inch), 88×125(Inch)가 표준형이다.
4) 특수 ULD
자동차운송용 장비로서 Car Transporter, 말 운송용 ULD인 Horse Stall, 가축 운송용 ULD인 Cattle Pen, 의류를 행어(Hanger)에 걸어 적재하는 컨테이너인 GOH(Garment on Hanger) 등이 있다.
5) ULD의 사용상 장단점
(1) 장점
①지상조업시간 및 하역시간이 단축되므로 항공기의 가동률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컨테이너를 사용할 경우 운송화물의 안정성이 제고된다.
②운송화물의 단위화로 하역시간의 단축과 하역비용절감 등 하역합리화를 실현할 수 있다.
③냉동 컨테이너 등의 특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냉동화물, 냉장화물, 생동물, 고급의류 등 특수화물을 운송할 수 있다.
(2) 단점
①ULD의 구입 및 수리에 대한 자본이 소요된다.
②ULD의 자체 중량만큼 화물탑재량이 감소된다.
③사용된 ULD의 회수 등 관리상의 어려움이 크다.
④기종별 규격의 비표준화로 인해 ULD의 기종 간 호환성이 낮으며, 더불어 항공운송의 특수성으로 인해 선박 등 다른 운송수단과의 호환성도 낮다.
반응형'물류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상운송 일반 1편 - 해상운송 개관 (0) 2023.09.14 항공운송 5편 - 항공화물 관련 국제기구 (0) 2023.09.14 항공운송 4편 - 항공운송장과 운송책임 (0) 2023.09.13 항공운송 3편 - 항공운송절차와 항공화물운임 (0) 2023.09.11 항공운송 2편 - 항공화물운송과 포워더 (0) 2023.09.11